궁궁/GoongGoong

We Love, 우리 사랑

누가 그랬지
난 아니야
너도 너도 그랬잖아. 나, 사랑한다고
나도 잘 모르는 나를, 네가 사랑한다 했잖아
너, 그거 사기 아니었지?

나, 그거 믿고
이날 이때껏 용기 내고 살았다
힘들 때도 있었으나
날 사랑한 네 용기가 내게 힘이 되었어
나도 힘든 사랑하기를, 네가 내게 해줬잖아

우리 사랑!
오늘도 내가 사랑하는 우리는
우리가 되어 나를 사랑하는 우리야
우리는 우리가 되지
한 번 우리 되면 그건 그냥 우리일 뿐이야

내가 사랑한 나도, 네가 사랑한 나도, 모두 같아. 우리 사랑!

감지덕지(感之德之)

“사랑한다고, 사랑한다고 네가 말했잖아요. 그런데 왜 날 떠난다는 말 대신에, 누군가를 사랑한다고 하시나요? 그래서는 내가 당신을 미워할 수도 잊을 수도 없잖아요. 그런데, 그거 알아요. 당신, 정말 정말 내가 도저히 잊을 수 없다는 거. 내게 말하죠. 이 시대에 살며 도저히 거부할 수 없는 크고 밝은 사랑을 만났다고! 그 사랑이 너무 커서, 날 사랑한 당신을 완전히 그 빛 속에 녹여버렸다고 했죠.”

ㅎㅎㅎ. 사실은 저런 고백은 내가 나에게 한 말이에요. 나의 에고(#Ego)에게, 나의 청춘에게, 그리고 내가 꿈꿔온 #미래에게 나는 그저 미안하기만 했죠. 이 큰 사랑을 만나, 그만, 사랑에 푹 빠져서, 그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힘들게 되었기 때문이에요. 나의 가슴에 찾아온 이 #밝음!

오늘도 나는 이 사랑에 잠긴 채 순간을 삽니다. 내 사랑, 그대는 우리!

쾌지나 칭칭나네 2024


Naver 블로그에 올렸던 글입니다. 감지덕지를 추가했습니다.


우리의 전통 민요 중에 “저 달 속에 우리 님을 쾌지나칭칭 나네, 너는 보고 있을 테지 쾌지나 칭칭나네”라고 노래하는 ‘쾌지나 칭칭나네’가 있다. 무슨 뜻일까? 

주역(周易) 64괘 중에 43 째는 ‘택천쾌다. 저 ‘쾌’ 지나, 바로 천풍구로 이어진다. 쾌지나 칭칭나네라 하였으니, 천풍(天風)이 일어남을 예시했다. 바람이 불어오는 곳이 있다. 우리 모두의 궁극적 귀환처이다. 천풍(天風)은 하늘의 바람이고 서원이다. 바야흐로 천풍이 불어왔다. 고래로 인간이 가졌던 소원들은 모두 자유자재한 삶으로 향했다. 우리 조상들은 영혼 완성 또는 정신 완성이라는 말로 이를 대신했다. 이제 천풍이 불어왔으니 인간들의 그 소원을 들어주시려는 것이다.

칭칭 나네는 ‘마음속에 살아 있네’이다. 이런 마음 저런 마음 다 녹여서 한마음을 만드니, 하나로 합쳐들어 잘도 낳는다는 말이다. 마음이 살아 있음을 뜻한다. 칭칭은 무엇을 감는 모양을 뜻하는 소리다. 베틀 짜는 모양이며 합궁하는 모양이니 둘이 만나 하나 되자는 소리다. 바야흐로 참 하늘과 인간이 하나 되자는 뜻이다.

돌이켜 보건대, 천부경과 삼일신고로 그 본래의 뜻을 전하신지가 오래다. 한민족의 조상들은 가장 이상적인 삶의 형태로 성통공완(性通功完)이라는 비전을 제시받았다. 구체적 방법 또한 전해졌다. 하지만 때에 따라 뜻이 오갔으며 변질되기도 하였다. 이제 천풍이 불어와 이기상(理氣象)을 일원(一元)으로 통일시키는 장(場)이 마련되었다. 하여 상으로 드러난 후를 추구하는 주역과 무심으로 찾아들어가는 불가의 화두법을 하나로 통일했다. 이로써 도(道)와 역(易)을 소환하여 본래의 도와 근원역으로 환원시키는 대업(大業)이 시작되었다. 

화수미제라 했으니 아직 부족한 것이다. 수화기제라 했으니 공부를 마친 것이다. 그러나 공부란 끝이 없는 것이라 수화(水火)가 이르러 화수(化水)를 돕는다. 이것이 스승의 도다. 새 세상에 새 물결이 이르르니 원래 그러한 아버지의 도와 어머니의 덕이 상합(相合) 하여 새로운 아이를 낳았다. 그것이 미륵불(彌勒佛)이다. 우리 모두에게 하늘의 복이 내려오는 것이다.

쾌지나칭칭나네라 하였으니 이 대업을 같이 성취하려는 사람들이 반드시 있으리라 믿어진다. 누굴까? (합장)

감지덕지(感之德之)

우리가 아는 우리는 우리입니다. 우리와 우리가 만나면 우리가 나옵니다. 1 + 1 = 1 과같이 되는 겁니다. 하나의 장이고 마당이라서 두 마당을 툭 틔우면 #한마당이 됩니다. 우리는 오늘도 수많은 세계인들이 외로워함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이 경험하고 있는 #외로움 역시 #NY Times에 기재될 정도입니다. 미국의 보건장관이 말하길, 미국인들이 외로움으로 가장 많이 죽어가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우리’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한국인들의 ‘우리 생활’이 빛을 발할 때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천풍이 불어왔습니다. #뇌인과, #환역, 그리고 궁궁이 우리와 함께합니다.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가 알던 우리가 오늘날 여기에 있다
우리가 알아온 우리가 지금 여기 있다
우리는 우리를 안다만,
우리도 모르는 ‘나’들도 많다.
나는 누구인가?

우리는 누구인가?
인간계의 힘이 작용하는 곳은 모두 인간계다
우주중력장이 작용하는 무대는 힘 그 자체다.
우리는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가?

우리들이 하는 사랑도 알고보면
우리의 힘이 주변으로 퍼져감이다.
우리가 오늘날에 이르러 여기까지 왔다만
우리가 아는 우리가 과연 얼마나 왔을까?

우리는 다만 우리를 알 뿐, 우리 아닌 우리는 모른다.

감지덕지(感之德之)

한국인들은 지금도 #우리 를 즐겨씁니다. 물론 예전 만큼은 아니지만. 우리 집, 우리 아빠, 우리 엄마 등등 말입니다. 한 집안에도 #중력작용은 있습니다. 물론 부모님이 강력한 중력 작용을 해준다면 아이들은 밝고 안전하게 잘 성장할 수 있죠. 건강하고 밝은 가정, 우리를 살리는데 그 답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 길에 #환역 #뇌인과 그리고 궁궁이 함께합니다.

사랑은 뭘까?

대신해 주지 않아, 누구도
너의 사랑, 그거, 네 거야

네가 하는 사랑인데
왜 날 붙들고 소주 먹이는데?

너의 사랑, 너 꺼야 그거
그런데 네 맘대로 안 되지?

세상만사 네 뜻대로 될 것 같았는데
하, 요거 요거, 요 조그만 거, 안 되지?

왜 그럴까?
자존심 상하니? 질투 나서 그래?

아냐, 아냐. 딴 소리 할 거 없어
그냥 아프다고, 힘들다고 말해

어, 또 이런다.
왜 술을 내가 먹어야 하니?

그렇지, 그렇지
넌 뭐 아주 대단한 줄 알았지?

사랑해 봐
그래야 철든다. 어떤 애새끼든 그래.

철없는 어른들이 많다고 주위에?
그이들 다, 사랑을 못해봐서 그래

하, 웃긴다 너! 너 우는 모습 진짜 웃겨서 나, 눈물 나!

감지덕지(感之德之)

“누구나 하는 사랑입니다.” 아, 잠시만 검문 있겠습니다. 정말, 누구나 사랑해 본 걸까요? 아님 그저 이끌려본 경험이 있는 걸까요? 사랑하고 있는 당신, 혹은 이별한 당신이라면, 여하간 사랑은 사랑이라는 말에 동감하실 겁니다. 우리 모두에게 #뇌인과, #환역, 그리고 #사랑이 함께 합니다. 우리 사랑!

사랑하고 이별하고


우리는 오늘을 살아 어제에 속지 않고
내일에 살아갈 나 역시 오늘을 안다만
내일에 나를 속일 그 자(者) 역시 나(我)겠지.

아이야, 어른 아이야! 나이만 먹은 동자야.
오늘에 너를 낳아 내일 보자던 그 희망을
어째서 놓쳤느냐, 어찌 찢어버리고 말았느냐

아니다 아니다. 네 탓이 아니라 내 탓일까
아니 아니야, 다만 착하지 못한 그러면서도
모나지 못한 어중이떠중이 된 탓일까

우리는 오늘을 알아 내일에 대비하되
어제 일은 오늘에 새겨 잊지 않으리
사랑아 사랑아, 너는 잊으려도 안 되고

그 희망가를 계속 부르게 하는구나
사랑아, 희망아! 우리는놀자꾸나
자주자주 만나서 뒹굴뒹굴 하자꾸나

소가 언덕 비비듯 하자꾸나, 사랑의 인연이여!

감지덕지(感之德之)

우리는 사랑으로 태어나서, 실수에 괴로워 하다가, 사랑에 겨워 목놓아 울기도 합니다. 사랑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으나, 개개인의 사랑은 언제라도 자기 실수 때문에라도 자기 곁을 떠납니다. 하지만, 결코 미워해서는 안 되는 그것 하나, 그 역시 사랑일 겁니다. #환역 은 사랑가입니다. 그리고 #뇌인과 는 그 매파쯤 될까요?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