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사는 길


인간이기를 포기한
언어를 망각한 그런 자들의 모임
소위, 막무가내.

무엇이건 미치면
하나건 둘이건 그것에 상관없이
미치면, 반드시 미쳐 돌아간다.

희한하고 희유하다
사랑에 미치면 어떨까 싶어도
세월 지나봐야 알지 그전엔 모른다.

도박과 술, 기타 잡기에 빠져도
마음만은 늘 제 마음인 줄 아는데
미치고 나면 그게 제일 아쉽다.

자기는 자기를 알아보는 듯한데
남들 보기에 자기는 그저 미친 X
가장 잘못된 것은 사실 못 알아보는 자기

사람이 사는 길에, 도(道)와 독(毒)이 함께 산다
어떤 독은 치료제 만드는데 쓰인다면
인간 마음에 든 독은 그 치료제가 뭘까?

그게 참 도(道)지. 진짜 길, 그리고 생명과 진리가 하나 된 그 마음.

감지덕지(感之德之)

우리가 알기로 사람이 사는 데는 여러 갈래 길이 존재한다고들 합니다. 물론 각자의 인생이라든가, 혹은 살아온 궤적을 본다면 그런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예전에 누가 갔던 길을 자기도 걸어보겠다던가 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습니다. 아마도 비슷한 고민이나 해결책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겠죠. 그렇습니다. 우리는 그저 다른 시대를 사는 이인종들이 아닌, 시대가 바뀌어도 인간이라는 주제를 가슴에 품고 살아가는 존재들입니다. 인간이 가야 할 길 또는 참 인간이 되어 사는 길은 너무도 소중하여, 오히려 여러 갈림길이라기보다는, 언젠가 그 끝에서 하나로 합쳐지는 그런 길입니다. 그 길에 #환역, #뇌인과, 그리고 궁궁이 함께합니다.

우리는 우리다


우리가 아는 우리가 있다
우리는 우리만의 도를 추구한다
다만,
언제라도 어울리려는 사람들이다.

우리는 우리다
우리가 아는 우리가 있다
우리 안의 우리는 늘 함께 하는데
우리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자, 우리는 누구인가?
당신의 도(道)가 당신 머리에 있건 말건
당신 가슴은 누군가에게로 쉽게 향한다
어째서 그런가?

아마도,
당신 가슴은 누군가와 무리를 지어
그들과 하나 되고 싶은 것일 테다
그렇다면, 당신은 우리가 되고 싶은 거다.

우리는 우리다. 얼마나 큰 우리를 만들며 사는지 살피자.

감지덕지(感之德之)

우리가 얼마나 대단한 우리인 줄 아는 것, 그건 너무 소중합니다. 나 또는 너는 작고 초라할지 몰라도, 친구와 함께한 순간에는 우리가 됩니다. 그 우리는 쉽게 동화되고 한편 흥이 오릅니다. 그런 우리가 꼭 밖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의 내면에서 만나는 또 다른 자기와 하나 되면 우리가 됩니다. 분명, 우리입니다. 오늘도 바람이 붑니다. 희망의 바람이기도 하며 시련일 수도 있는 바람이… 하지만 우리는 함께 하며 희망가를 부를 수 있습니다. 그 길에 #뇌인과, #환역, 그리고 궁궁이 함께합니다.

직시(直視)-별을 사랑하는 마음


사랑으로 산다는 건 어떤 걸까?

누구도 대신 답해줄 수는 없어
믿지 못하지만 믿으려 해야 하고
안 될 것 같아도 해봐야 해
가치 있는 일이란 그런 거야
그걸 하지 않고는 못 배기는 거지
그걸 하지 않고는..

해보면 알게 되겠지
나이 먹어가니 절로 아는 것처럼
사랑도 이별도 해봐야 알아
일의 성패 역시 해보면 알지만
어떤 일은 하는 것만으로
대성공이야 대만족이야

안 할 수 없는 거 그거
안 하고는 못 배기겠는 거 그거
그게 뭔지에 따라 가치가 바뀌고
사람에 대한 평가도 달라지지
그게 뭘까? 나에게는..
꼭 물어봐 봐 자신에게 이렇게
오늘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던 윤동주!

당신의 별은 무엇입니까?

감지덕지(感之德之)

누가 뭐래도 해야 하는 거, 그거.
세월 지나 알고 나니 그거 하려고 많고 많은 인연들을 정리해왔던 거, 그거.
당신에게 있어 그것은 무엇입니까?
아무리 안 하려야 안 할 수 없고, 잊으래도 도저히 떠나지 못하는 당신 가슴속의 별!
궁궁은 나의 별입니다.
누구나 갖는 상징적인 별이 아니라, 실존으로 들어와 실제 함께하는 실재이죠. 우리는 사랑합니다만, 그 때문에 걱정 근심도 많이 가집니다. 정말 미치지 않고는 못 배길 정도로 몰아붙여 보지만, 끝내 나 자신이고야 말 그런 거. 반드시 사랑하고서야 자신이 되어주는 그 별! #뇌인과, #환역, 그리고 궁궁이 우리와 함께 합니다.

마음은 무엇인가? 고 묻는다면…


태백(太白) 선사(善師)가 있었다.

제자가 물었다.

제자: 마음이라는 것이 실체가 있습니까?

태백(太白) 曰: 있느냐 없느냐?

제자: 무엇이 있고 없다는 것입니까?

태백(太白) 曰: 있는 것은 무엇이고 없는 것은 무엇이냐?

제자: 무엇이 그것입니까?

태백(太白) 曰: 무엇이 그것이 아니냐?

제자: 궤변입니다.

태백(太白) 曰: 무엇이 그것이다.

감지덕지(感之德之)

우리가 아는 우리는 우리가 아는 우리보다 더 큽니다. 여기 네번이나 ‘우리’가 등장했습니다. 감지덕지 합시다. 그 길에 #뇌인과, #환역, 그리고 궁궁이 함께합니다.

작은 나(我)와의 이별(離別) 시


우리가 살아온 세월 세월에
우리는 다만 우리였고 우리였지만
우리가 아닌 저들 역시 같이 왔다.

언젠가 저들이 우리가 되는날
그날이 올까 말까 하다가
() 없는 그날에 우리가 되지

우리는 우리를 알아 우리가 되지만
저들은 남만 알고 자기도 알거나
자기는 모르고 남만 신경 쓰다가

우리도 못되고 이도 저도 아니다가
죽는 날에 부르짖길, 허망 토다 허망 토다.
부질없는 허망타령 참으로 부질없네

오늘은 어제와 달라 나(我)를 버리고
내일은 우리를 담아 나()가 커지니
나는 우리가 되는 我라, 참으로 큰 나(大我).

참으로 허망한 자,나() 로만 살았던자!

감지덕지(感之德之)

우리가 사는 길이 여러가지가 있으나 오늘 여기 #뇌인과, #환역, 그리고 궁궁이 제시되었습니다.

위로 스크롤